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정치

이만희 의원, 해양경찰청 방독면 맹독성 발암물질 노출 위험

해경, 내구연한 지난 노후 K1 방독면 7,723개 보유해 교체 시급

 

(데일리대구경북뉴스=양승미 기자)=국민의힘 이만희 국회의원(국민의힘, 경북 영천시·청도군)은 맹독성 발암물질이 함유된 해양경찰청 노후 방독면의 교체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 의원에 따르면 해양경찰청이 보유하고 있는 1만4,552개의 방독면 중 89%에 달하는 1만3,001개의 구형 K1 방독면은 지난 2008년 맹독성 발암물질인 6가크롬이 검출되면서 큰 논란이 있었던 방독면이다.

 

당시 유독가스들과 결합해 화학적 반응을 통해 분해시키는 방독면 내 활성탄에서 6가크롬이 검출되었는데, 그 독성이 매우 치명적으로 알려졌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지금은 생산이 중단된 상태이다.

 

2009년 ADD(국방과학연구소) 보고서를 통해 기준치 이상의 크롬 성분을 흡입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정화통 외벽에 있는 6가크롬이 오래되거나 외부의 충격을 받으면 떨어져 나올 수 있고 호흡기를 통해 흡수될 경우 극소량으로도 인체에 치명적이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이어졌다.

 

이러한 위험성을 인정해 미군의 경우 1994년 보급된 M40 계열의 방독면부터는 크롬 성분이 없는 활성탄을 사용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2016년부터 신형 K5 방독면이 개발·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만희 의원은 해경의 내구연한이 지난 방독면이 전체 K1 방독면의 59%인 7,723개에 달한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했다. 2001년에 생산·보급되어 내구연한이 10년이나 경과한 방독면도 897개나 될 정도로 노후가 심각하다는 것이다.

 

이만희 의원은 “구형 K1 방독면은 훈련 또는 실전 중에 정화통이 찌그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항상 신경써야 하고, 노후 되었을 경우 별문제가 없는 방독면이기를 빌면서 운에 맡겨야 하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나 신형 K5 방독면이 지난 2016년부터 보급되고 있음에도 해경이 노후 방독면 교체를 위해 신형으로 보급한 시기는 지난 2018년부터이다. 2018년 120개, 2019년 1,431개로 단 1,551개만을 신형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방독면의 성능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안전을 위해서라도 신형으로의 교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만희 의원은 “해경이 신형 방독면 보급에 늑장을 부리면서 일선 해경 직원들의 건강과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면서, “노후 방독면들에 대한 면밀한 검사와 함께 신형 방독면의 신속한 보급이 추진될 수 있도록 예산 확보 등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고 촉구했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