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가 대구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 임직원들의 지역사회에 성공적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주거, 교육, 교통 등 정주여건 개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구혁신도시는 지난 2007년 9월 착공한 이후 8년간의 공사를 거쳐 4천216천㎡의 혁신도시 개발 사업을 2015년 12월 31일 모두 완료했다.
혁신도시 내에는 이전공공기관 클러스터(308천㎡), 첨단의료복합단지(466천㎡), 의료R&D특구(367천㎡) 등이 개발돼 있다.
이전공공기관 클러스터에는 2012년 12월 중앙신체검사소를 시작으로 2015년 11월 한국장학재단이 이전을 완료함으로써 대구로 이전하는 12개 공공기관(혁신도시내 10개 기관, 혁신도시외 2개 기관) 3천503명의 임직원이 이전해 전국 10개 혁신도시 중 전국 최초로 공공기관 이전을 완료했다.
첨단의료복합단지에는 한국뇌연구원, 첨단의료유전체연구소, 3D융합기술지원센터를 비롯한 23개 기업‧기관이 입주를 완료하고, 한림제약(주), ㈜동성제약, 대우제약(주) 등 51개 기업이 계약을 체결하고 입주를 준비하고 있다.
의료R&D특구에는 라파바이오(주) 등 54개 기업이 입주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중 25개 기업이 제품 생산을 위해 공장을 가동 중이다. 주택건설용지에는 공동주택 5개단지 2천193세대가 입주를 완료했다.
대구경북연구원은 대경경제권 파급효과(2011~2020년)를 생산유발 3조 9천억 원, 부가가치 유발 2조 7천억 원, 고용유발 3만 1천여 명으로 추정했다.
’15년 말 기준 혁신도시 주민수는 5천922명으로 전년도(2,111명) 대비 180% 증가했다. 지방세 수입 규모는 384억 원 규모로 전년도(220억 원) 대비 75% 늘어났다. 지역인재 채용인원은 69명(전체 419명)으로 전년도(44명) 보다 57% 증가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혁신도시 내 공동주택 6개단지 입주가 완료되는 올해 말에는 혁신도시 인구가 1만4천여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교육시설 확충 등 정주여건을 더욱 개선해 나감은 물론, 지역인재 채용률도 더욱 확대(16.5%→20%) 되도록 이전 공공기관과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15년 채용률 16.5% → ′16년 20% → ′17년 이후 35% 이상)
올해 3월 유치원 1개소, 중학교 1개소가 개교했다. 9월에 초등학교 1개소가 개교할 예정으로 있어 혁신도시 교육여건이 더욱 확충될 전망된다.(교육시설 : 어린이집 13, 유치원 2, 초등학교 1, 중학교 1, 고등학교 1)
입주기관과 지역민의 교통불편 해소를 위해 고속버스터미널 직통 시내버스노선 신설(708번,2015.8.1), 순환버스(동구4, 4-1번) 배차간격 단축(22분→15분), 舊한국장학재단 부지 일부를 매입해 공영주차장을 설치(2017~2018)하고, 장기적(2016년∼2021년)으로는 도시철도 1호선 노선 연장(안심∼혁신도시∼하양), 경부고속도로 율암IC 건설을 추진해 혁신도시로의 접근성을 더욱 높여나갈 계획이다.
또한 입주민들에게 쇼핑편의를 제공할 대형할인매장도 2017년에 개장할 준비를 하고 있다. 100병상 이상 병원이 입주할 수 있는 일반클러스터 용지(6필지 24,776㎡)를 올해 하반기에 분양하므로 혁신도시의 정주여건은 한층 더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부고속도로 굴다리 4곳과 농로 1킬로미터에 가로등(35개)을 설치하고, 굴다리 13곳에는 회전형 CCTV를 설치(’16년 2월)해 범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한편, 혁신도시를 찾아오는 방문객의 편의를 위해 지하철역과 연계한 안내사인물도 상반기 중 정비를 완료할 예정이다.
공공기관 직원과 가족들이 지역사회에 조기 정착할 수 있도록 친선체육대회, 봉사활동 함께하기 등 대구시와 이전기관의 실무직원간 교류를 확대하고 이전기관의 지역사회 공헌 활동으로 지역사회와의 융화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또 공공기관 임직원들에게 대구지역에 대한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팔공이노밸리 홈페이지와 ‘대구혁신도시 늬~우스’ 발행을 통해 공공기관 행사 계획, 소식 및 각종 생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대구시 김승수 행정부시장은 “신도시 이전공공기관 임직원들이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주거, 교육, 교통 등 정주여건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것이다.”며 “대구혁신도시가 또 다른 신성장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것을 확신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