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포항시

포항시, 창조경제 실현 산·학·연 협력관계 구축

포항시, 미래 먹거리 산업 발굴로 창조경제 선도

경북 포항시가 지역 창조경제를 선도하고 실현시키기 위해 산·학·연과 협력관계 구축을 통한 미래 먹거리 산업 발굴에 나섰다.


포항시는 16일 포스텍 회의실에서 지역 R&D기관 대표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포항을 창조경제를 선도하는 창조도시로 조성하기 위한 R&D 기관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포스텍 주관으로 마련된 이날 간담회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이칠구 포항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포스텍, 한동대, 포항테크노파크,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포항상공회의소,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포항가속기연구소, 나노융합기술원 등 지역 R&D 기관 대표들이 자리한 가운데 지역 경제 발전 방안과 지역의 발전, 대학의 역할 관련 등에 대해 발표했다.


국내 타이타늄의 권위자인 이용태 박사(前재료연구소장)는 지역 전략 산업으로 가칭 첨단소재(타이타늄) 산업육성에 대한 국·내외 여건과 포항 지역의 특강점인 소재, 에너지 분야 산업의 집중 육성 추진 필요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발표했다.


포스텍 정완균 산학협력단장은 ‘지역사회와 대학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포항 발전에 대한 고민과 신산업 창출을 위한 ‘원천적이고 독자적인 신약개발 기술을 토대로 한 미래지향적인 바이오산업 접근법’을 강조하고


가속기 기반 신약 프로젝트(NBA프로젝트)로 제약·생명공학의 세계시장은 2024년을 기준으로 1천8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우리나라 3대 수출효자 산업인 반도체, 화학제품, 자동차 산업을 합한 것보다 더 커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또한 대학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기술이전 및 직접사업화 연계를 위한 체계적 운영시스템을 구축해 포스텍 창업 생태계 조성에 주도적인 역할 등에 대한 방향을 제시했다.


포항가속기연구소는 총사업비 4천298억원(국비 4,038, 지방비 260)의 예산으로 건설 중인 제4세대 방사광 가속기는 시험가동 중이다. 가속기 구축연계 시설인 가속기 체험관, 이용자 숙소 등은 2016년 6월 완공 예정이다.


한동대 이재영 산학협력단장은 ‘환동해 창조경제 거점도시 포항의 과제’라는 주제로 포항의 철강쇠퇴와 서비스업의 보강으로 연구개발과 융합개발을 강조하며, SADDLE 거점전략으로 에너지 벨트 거점도시, 명품 교육거점도시, 해양강국거점도시로서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실행을 동반하는 내재된 성장 동력이 충분히 가동 될 수 있도록 유관 기관이 서로 협업하고, 역량을 집결함으로써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켜 우리나라 산업화와 근대화를 견인한 포항이 새롭게 거듭 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자”고 당부했다.


포항시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각 기관에서 발표한 제안 아이템과 당위성, 지역적 필요성, 추진전략 등 진행방향을 논의함으로써 지역발전에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