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강정민, 이하 원안위)는 25일 개최된 제77회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원전 내진보강 종합검증 특별위원회의 활동결과를 보고받았다고 밝혔다.
원전 내진보강 종합검증 특별위원회는 내진공학, 지질, 기계분야 등 민간전문가 9명으로 구성되어 지난해 8월부터 원안위와 별도로 한수원에서 추진한 원전 내진보강 등 결과의 적절성에 대해 독립적으로 점검을 수행했다.
앞서 한수원은 0.2g(약 규모 6.5) 수준으로 내진 설계된 가동 원전 24기 중 21기에 대해 0.3g(약 규모 7.0) 수준까지 안전정지유지계통(지진발생시 원자로를 정지시키고 잔열제거 등을 통해 안전하게 유지하는 기능) 내진보강을 완료하고 그 결과보고서를 원안위에 제출했다.
한수원은 원자로 노형별 대표원전의 핵심기능(안전정지기능, 노심냉각기능, 방사능유출방지기능, 사용후핵연료 냉각기능)별 내진성능을 정밀평가한 결과, 0.3g 수준까지 내진성능을 확보하고 있으며, 후쿠시마 후속대책으로 추진 중인 이동형 설비를 고려하면 0.5g 수준까지 내진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평가했다.
특위는 한수원이 제출한 내진보강 및 내진성능 정밀평가 결과에 관한 절차 및 방법 등은 대체적으로 적절한 것으로 평가하고,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 일부 확인되어 21개의 권고사항을 제시했다.
주요 권고사항으로 내진보강 대상기기 선정과정에서 활용한 기기별 내진성능값의 유효성과 내진성능값 계산 과정에서 전문가의 자격요건 및 판단기준, 이동형펌프차 등의 대체설비에 대해서는 대규모 지진상황에서 실제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 검증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원안위는 앞으로 특위 권고사항에 대한 후속조치계획을 확정한 이후, 한수원의 이행실적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극한의 자연재해를 가정해서 안전성을 평가하는 스트레스테스트와 연계하여 원전별 내진성능을 확인해나갈 계획이다.
강정민 위원장은 “원전 내진보강은 향후 발생 가능한 대형 지진에 대비하여 원전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대책이다”라고 강조하며, “철저한 내진보강을 통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수준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지속적으로 확인 및 점검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