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경북도의회는 노성환 의원(고령, 국민의 힘) 주관으로 11월 4일 도의회에서 ‘「경상북도 다문화가족 영유아 자녀 언어교육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는 도내 다문화가족 영유아 자녀들의 언어발달 지연 및 학습 부진이 문제가 되고 있어, 다문화가정 영유아 자녀에 대한 학령기 진입 전 기초 언어 및 학습 능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조례 제정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조례 발의를 준비 중인 노성환 의원은 그동안 다문화가정의 영유아 자녀에 대한 언어교육 지원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에 앞장서 왔다.
먼저 노성환 의원은 조례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통해 "영유아기의 언어 발달은 단순한 말 배우기의 문제가 아니라 아이의 정서 발달, 학습 능력, 그리고 평생의 사회적 적응력을 좌우하는 결정적 시기”라며,
"특히 농산어촌 지역일수록 다문화가족 아이들은 또래 친구가 적고, 학교나 복지시설 접근이 어렵다 보니 교육 격차와 사회적 고립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조례 제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언어교육 지원이 단순한 복지사업이 아니라, 아이와 부모, 가정과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통합적 지원체계로 작동하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제안설명에 이은 토론에서, 김영주 대구가톨릭대 교수는 “언어발달 지연은 정서, 사회성, 자아정체성 발달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 이슈”라며 언어·정서 통합 지원체계 구축과 조기 진단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김승수 경북도 다문화정책팀장은 현재 운영 중인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 발달 지원사업, 방문교육 사업 등의 효과를 설명하며 기존 사업과의 연계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권한희 고령군가족센터장은 농어촌 지역의 전문 인력 확보와 도 차원의 적극적 재정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서 김현정 경북교육청 장학사는 가족센터를 중심으로 한 지역 기반 통합 서비스 활용을 제안했으며, 서희주 색동어린이집 교사는 지자체 차원의 체계적인 언어교육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를 주관한 노성환 의원은 "오늘 토론회에서 제시된 다문화가족 영유아 언어발달의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 구축, 전문 인력 확보, 지자체·관계기관 등과의 협력체계 등에 대한 내용을 조례안에 담아 실질적 실행력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