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대구경북뉴스=김형만 기자)경북도는 3월 발생한 초대형 산불과 개화기 이상 기후로 인한 저온 등의 피해에도 불구하고, 선제 대응과 철저한 생육 관리로 올해 추석 명절 사과 출하에 아무런 이상이 없으며, 산불 피해를 본 과원 역시 미래형 과원으로 재조성하는 데에 있어 차질 없이 순항하고 있다.
경북도는 3월 22일 발생한 전례 없는 초대형 산불로 도내 사과 주산지 5개 시군(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에 발생한 피해(1,560ha)와, 산불이 미처 진화되기도 전에 발생한(3.29.~4.2.) 이상 저온 때문에 주변으로부터 올해 사과 생산에 차질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를 받았다.
하지만, 경북도는 연초부터 해마다 발생하는 저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저온피해경감제지원사업’을 도비 신규 사업으로 발굴해 33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저온 피해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있었다.
특히, 산불 발생 직후 사과 생산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농식품부(사과연구소)·경북도·시군 3자 간 협의체로 이루어진 ‘산불 피해 지역 과수 생육 현장지원단’을 운영(2025년 5월부터 2026년 수확기)하며 산불 피해 사과 농가의 생육기별 생육 관리 방안에 대해 집중 지도 하는 등 산불 피해 과원 관리를 철저히 했다.
그 결과, 현재까지의 생육 상황을 고려할 때 올해 사과 작황이 양호하여 사과 생산량은 평년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이고, 추석 전 9월 사과 출하량이 전년 대비 9.1% 증가해, 사과 가격 또한 전년보다 낮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되어 경북도는 앞선 사과 생산 안정에 대한 주변의 모든 우려를 종식했다.
또한, 경북도는 산불 피해 과수 농가의 생계 안정과 산불 피해 과원의 신속한 재조성을 통해 미래 사과 생산을 책임지는 데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먼저, 산불 피해 농가에 지급되는 재난지원금이 실제 과원 재조성에 필요한 비용보다 크게 부족함에 따라 피해목 캐냄, 토양개량, 배수·지주·관수 시설, 묘목식재 등을 지원하는 ‘과수고품질 시설현대화사업’을 추가로 받을 수 있게 하려고 지속해서 중앙정부에 건의했다.
그 결과, 행안부의 유권해석과 농식품부의 지침 개정을 통해 사업비 254억원을 긴급 과원 재조성이 필요한 산불 피해 농가에 추가 지원했다.
특히, 예상치 못한 산불로 묘목 수급 난항에 따라 피해 농가의 과원 재조성이 지연될 것으로 판단, 중앙정부 건의를 통해 ‘종자산업기반구축사업’ 사업비 20억원을 확보해 영주·상주에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해 연간 20만 주 정도의 묘목을 안정적으로 생산하여 내년도 묘목 수급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그동안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피해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도 자체 예산을 추경에 확보해 ‘농가형 저온저장고 설치’ 19억원과 과수농가에 필수 장비인 고소작업차·승용 SS기 등을 지원하는 ‘과수생력화장비 지원사업’ 10억원을 지원해 실의에 빠진 농업인들의 영농의식을 고취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유례없는 초대형 산불로 피해를 본 사과 농가가 힘든 시기를 이겨내며 생산한 경북 사과는 예년보다 특히 더 맛있을 것”이라며, “이번 추석에 품질이 우수한 경북 사과가 국민 여러분의 명절 식탁에 오를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밝히며 “이번 추석은 산불 피해 농가와 소비자 모두 서로 아픔을 보듬고 희망을 함께 키우는 따뜻한 명절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