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대구경북뉴스=이준호 기자) 대구시와 대구시교육청은 지난 9월 13일부터 10월 7일까지 공동으로 실시한 '학교급식 운영실태 특정감사 결과'를 15일 오전 10시 30분 각각 대구시청과 대구시교육청에서 따로 발표했다.
감사 결과에 대해서 처분권한이 있는 기관에서 각각 나누어 발표하기로 하고, 대구시는 위장(유령) 업체 적발 사항, 무상급식비 재정점검 사항을 대구시교육청은 학교 급식 관련 사항을 발표했다.
하지만 두 기관은 서로 다른 결과를 발표했다. 대구시는 학교급식 운영실태 감사 결과 지적건수 1,827건, 수사의뢰 및 고발 97건, 24억 원을 환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대구시교육청은 지적건수 221건, 경고 1건, 주의 19건, 기관주의 203건 톱보 1건이라고 발표해 지적건수가 대구시에 비해 9배가량 차이가 났다. 이에 대해 교육청은 예를 들어 식재료 검수서를 매일 2명 이상이 확인을 해야 하는데 모 중학교에서 87일간 1명이 서명을 한 경우를 교육청에서는 1건으로, 대구시는 87건으로 계산했다는 것이다.
대구시시교육청 관계자는 “대구시가 시내버스 재정지원금 관련 감사에서 19건을 지적하고 대구교통공사 전출금 감사에서는 32건을 지적한 것을 모두 1건으로 처리했다.”며 "시교육청 지적건수도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토로했다.

이러한 감사결과에 대해서 일각에서는 홍준표 대구시장이 무상급식 예산을 줄이려는 의도가 있다는 의구심을 나타내기도 했다.
홍준표 시장이 감사결과를 발표하기 전 지난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지난 경남지사 시절 전교조 출신 교육감과 1년 이상 실랑이 끝에 무상급식 감사를 전국 최초로 실시하여 1500건 이상 부정을 적발했다. 징계도 하고 사법처리도 하고 관련자들을 구속도 시켰다.”며 ”전국 지자체들도 부패의 저수지인 이 무상급식 부정 카르텔을 샅샅이 감사하여 우리애들이 재대로 된 급식이 이루어 져야 한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은 "아이들의 밥그릇까지 정치적·진영적 논리로 끌어가려는 것이 참으로 우려된다."고 비판했으며, 정의당 대구시당도 “‘무상급식 때리기’로 본질을 흐리지도 말라. '좌파 탓', '무상급식 탓' 그만 하고 안전하고 질 높은 급식 제공에 매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지원하는 급식비는 전액 식품비로만 사용하도록 하는 등 급식 질을 한층 높일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하고, 대구시교육청도 대구시의 협조로 식재료 유통과정을 바로 잡고, 더욱 더 안전하고 질 높은 학교급식이 제공될 수 있도록 관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