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서울 아파트는 요금제만 바꿔도 전기료를 83억 원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구자근 의원(경북 구미시갑,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를 위해 한국전력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 500개(구별, 종합·단일 아파트 10개) 단지 전기요금 조사 결과 종합계약 요금제를 선택한 서울 25개구(구별 10개) 아파트 250개 단지 중 192개 단지에서 단일계약 요금제를 선택했을 때보다 83억 원을 더 냈다.
종합계약 단지 250곳 중 192곳이 단일계약 보다 83억 7,098만 원 덜 낼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송파구 대단지 아파트는 6억 2,049만 원이나 차이가 나 같은 전기량을 사용하고도 요금제 선택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조사한 단일계약 250개 아파트 단지에 종합계약 요금제를 적용할 경우 245곳에서 381억 원을 추가 납부해야하는 것을 볼 때, 종합계약제 선택이 전기료 인상에 큰 영향을 준 것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이렇게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구자근 의원은 “종합계약은 세대별 전기요금에 비싼 ‘주택용 저압요금’을 적용하는 반면, 단일계약에서는 저렴한 ‘주택용 고압요금’을 적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단일계약과 종합계약 방식의 유불리는 공동설비 전기요금 산정방식 차이에서 발생한다. 도곡동 타워팰리스 사례와 같이 공동설비 사용량 비중이 높은 주상복합 형태일수록 공동전기에 누진제를 적용하지 않는 종합계약이 유리하다. 같은 주상복합이라도 공동설비의 전력 사용량을 눈여겨 보아야 하는 부분이다.
한전은 고압아파트 고객이 사용량에 따라 최적의 요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내 단일계약·종합계약간 전기요금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아파트별로 유리한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다.
구자근 의원은 “같은 전기를 사용하고도 요금제 선택에 따라 납부하는 요금에 차이가 큰 만큼 한전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전기사용 유형에 맞는 전기요금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구의원은 “아파트 전기요금과 관련해 많은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아파트 계약제도 표준화를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