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경상북도는 8월 30일 경주시 화랑마을 기파랑관에서, ‘지역과 함께하는 고려인 정착, 상생과 공존의 해법’을 주제로 ‘경상북도 고려인 정착 방안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고려인 동포를 포함한 외국인 근로자, 유학생, 지역주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해 도내 고려인 정착 지원과 지역사회 상생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했다.
주제 발표에는 정지윤 명지대학교 교수와, 김춘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가 ‘고려인 동포 삶의 질적 향상과 지원을 위한 과제’ 와 ‘고려인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발표하며 고려인 지원의 필요성과 지역사회 연계 전략을 제시했다.
지정토론은 정지윤 명지대 교수가 좌장을 맡고, 권광택 경상북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최영미 한양대학교 글로벌다문화연구원 교수 등 행정·의회·학계·민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고려인 동포의 현장실태를 공유하고 법률적·제도적 개선 방안을 폭넓게 논의했다.
특별히 토론자들은 ▵언어교육 지원 ▵자녀교육 문제 해결 ▵주거·고용 안정 ▵지역주민과의 소통 확대 등 구체적 과제를 제안하며, 경상북도가 선도적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현장에 참석한 고려인 동포가 생활 속 어려움을 직접 소개하며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도내 외국인 주민 수는 11만 8,274명(2024. 11. 행안부 통계)이며, 이 가운데 고려인 동포는 경주 5,838명, 경산 175명 영천 148명 기타 지역 240명 등 총 6,401명이 도내에 거주하고 있다.
특히, 경주시에만 5,838명(약 91%)이 거주하고 있어, 경주가 도내 최대 고려인 밀집 지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이번 토론회는 고려인 동포 정착 지원을 주제로 한 첫 공개 토론회로서 가지는 의미가 크다.
이상수 경상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고려인 동포는 단순한 외국인이 아니라 우리와 뿌리를 같이하는 소중한 동포”라며, “토론회를 계기로 주거·교육·일자리 등 정착 기반을 더 강화해, 고려인 동포가 도민과 함께 안정적으로 생활하고 지역사회와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상북도는 그동안 고려인 동포를 포함한 외국인 주민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2023년 외국인공동체과 신설 ▴광역 지자체 최초 ‘이민정책기본계획’수립 ▴광역형 비자제도 도입 주도 ▴K-드림외국인지원센터(구미), 해외인재유치센터(우즈베키스탄), 외국인상담센터(14개소) 운영지원 ▴어린이집 보육료(3~5세) 및 도립의료원 의료비 지원 ▴외국인 근로자 기숙사 환경개선 및 주거지 클린하우스 조성 ▴한국어 교육지원 ▴문화·체육활동 지역사회 교류 행사 등 유입부터 정주까지 전 주기에 걸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