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교육

계명대학교 이창섭 교수 논문. 사이언티픽 리포트에서 역주행 중

3,129회의 다운로드 기록, 2021년 중 가장 조회수가 많은 100대 논문 중 30위에 선정.

 

(데일리대구경북뉴스=이준호 기자) 계명대학교(총장 신일희)는 이창섭 화학전공 교수의 논문이 3월 21일자 Scientific Reports (Nature 자매지)에서 3,129회의 다운로드를 기록, 2021년 중 가장 조회수가 많은 100대 논문 중 30위에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이창섭 교수는 2021년 1월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에 ‘결합제가 필요 없는 리튬이차전지 음극재로서 실리콘/탄소나노섬유/그래핀 복합체 필름의 합성 및 전기화학적 성능(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silicon/carbon nanofiber/graphene composite films as anode materials of binder-free Li ion batteries)’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이 리튬이차전지 학계에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켜 3,129회의 기록적인 조회수를 보였으며, 이번에 2021년도 사이언티픽 리포트 논문 중 30대 주목할 만한 연구로 선정되면서, 다시 한번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리튬이차전지의 시장은 2025년 기준으로 92조 5,0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IT/Mobile 기기에 주로 장착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재로 지금까지 흑연이 주로 사용되어왔는데 흑연은 이론 충전용량이 372mAh/g으로 상대적으로 낮아, 전기자동차와 같은 고에너지밀도가 요구되는 전원으로는 사용상에 한계가 있었다.

 

이창섭 교수 연구팀은 흑연 대신 이론 충전용량이 4,100mAh/g인 실리콘을 도입하여 리튬이차전지의 충·방전 용량을 획기적으로 개선했으며, 또한 실리콘의 충·방전 시 문제점으로 나타났던 부피팽창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했다.

 

한편, 이창섭 교수는 경북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마치고, 미국의 오레곤주립대에서 표면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지금까지 표면화학, 전기화학, 센서화학, 윤활유 및 복합소재 분야에서 142편의 학술논문, 20권의 국내외 저서, 49건의 특허 실적 및 15건의 특허기술을 기업체에 이전했으며, 현재 스웨덴에 본부를 둔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dvanced Materials(IAAM)의 Fellow 및 (사)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대구지역연합회의 부회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또, 논문의 주저자인 총여엽(Cong Ruye) 박사과정 연구원은 중국 산동성의 곡부사범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 계명대학교 화학과에서 석사를 마치고, 현재 계명대 표면화학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이수중이다. 총여엽 연구원은 지금까지 리튬이차전지 분야에서 SCI 학술논문 3편 및 특허 3건을 출원하는 등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