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1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정치

장애인 고용 대신 돈으로, 최근 5년간 국내 항공사 장애인 고용부담금 437억원

- 최근 5년간 국내 10개 항공사 평균 장애인 고용률은 1.4%, 장애인 의무고용률 3.1%의 절반에도 못미쳐
- 장애인 고용 대신 10개 항공사가 납부한 장애인 고용부담금은 총 437억원, 2020년 75억원에서 2024년 111억원으로 약 1.5배 증가
- 최근 5년간 가장 많은 부담금을 납부한 곳은 대한한공 256억원 아시아나 108억원 순

 

(데일리대구경북뉴스=양승미 기자)=김정재 국회의원(국민의힘·포항시북구)은 최근 5년간 국내 항공사 11곳에서 장애인 고용 대신 납부한 장애인 고용부담금이 총 437억원에 달할 뿐 아니라 규모도 증가 추세로, 장애인 고용 대신 부담금을 납부하는 관행을 근절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가 제출한 ‘국내 항공사 장애인 고용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 10개 항공사가의 평균 장애인고용률은 1.4% 그쳐 의무고용률 3.1%에 절반에 불과했다.

 

항공사별 최근 5년간 평균 장애인고용률을 살펴보면 에어로케이가 0.5%로 가장 낮았으며, 티웨이항공이 3.4%로 가장 높았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각각 1%와 0.9%로 항공사 평균보다도 못 미치는 수치였다.

 

장애인 의무고용률에 못미치는 사업주가 납부해야하는 ‘장애인 고용부담금’은 매년 증가해 2020년 75.4억원에서 2024년 110.8억원으로 1.5배 증가했다.

 

항공사별로 살펴보면, 최근 5년간 대한항공이 255.5억으로 가장 많은 금액을 납부했으며, 아시아나가 108억원, 진에어가 33.8억원 순 이었다.

 

김정재 의원은 “항공업계 전반에서 장애인 고용 대신 부담금 납부가 관행처럼 자리 잡은 것이 아닌지 심각하게 우려된다.”며, “국가기간산업으로서 최소한의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 항공사들이 책임 있는 자세로 장애인 고용에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토뉴스

더보기